맨위로가기

베이징 지하철 1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1969년 10월 1일에 개통된 베이징 지하철의 노선이다. 핑궈위안역에서 스후이둥역까지 총 26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업 거리는 30.4km이다. 1977년부터 일반인에게, 1980년부터 외국인에게도 개방되었으며, 2021년에는 바퉁선과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 1호선은 러시아워 시간대 운행 간격을 단축하고 막차 시간을 연장하는 등 운행 효율을 개선해왔다. 2024년 1월에는 칭룽후둥 지선 건설이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 지하철 - 베이징 지하철 8호선
    베이징 지하철 8호선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총 길이 49.5km에 35개 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고 여러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잇는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
  • 196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여천선
    여천선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총 11.6km의 화물 철도 노선이며, 1969년 개통되어 호남정유 인입선으로 건설되었고, 현재는 화물 전용선으로 운영된다.
  • 196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밀라노 지하철 2호선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은 1969년 개통된 총 연장 40.4km, 35개 역의 노선으로, 중앙 구간을 기준으로 여러 방면으로 지선이 분기되며 다양한 종류의 차량이 운행되었고, 콜로뇨에서 비메르카테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논의 중이다.
  • 197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조반 완행선
    조반 완행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며 아야세역과 도리데역을 잇는 29.7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및 오다큐 오다와라선과 직결 운행하여 수도권의 통근을 지원하고 있으며, 자동 열차 운전 장치 도입 및 스크린도어 설치 등의 시설 개선이 이루어지고 2025년 원맨 운전 개시를 앞두고 있다.
  • 197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괴동선
    괴동선은 포항제철소의 화물 인입선으로 건설되어 부조역에서 괴동역까지 이어지는 화물 전용 노선이며, 과거 통근열차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화물열차가 주중 편도 1일 5회 운행된다.
베이징 지하철 1호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베이징 지하철 1호선
다른 이름M1 (계획된 이름)
푸바 선 (중국어 간체: 复八线, 푸싱먼 ~ 쓰후이 동 구간)
로고
노선 색상'#89333B'
톈안먼 동역 승강장
노선 유형급행 철도
운영 체계베이징 지하철
상태운영 중
위치차오양 구, 둥청 구, 시청 구, 하이뎬 구, 스징산 구
베이징
기점구청 역 (핑궈위안 역 재개장 예정, 푸서우링 역 개통 예정)
종점쓰후이 동역
역 수23 (바퉁 선 제외, 가오베이뎬 포함)
일일 승객 수1,234,900명 (2014년 평균)
1,536,900명 (2014년 최고)
개통일1971년 1월 15일
운영자베이징 지하철 운영 유한공사
노선 특징지하, 지상
차량 기지구청루 차량 기지
쓰후이 차량 기지
사용 차량6량 B형 (DKZ4, SFM04)
노선 길이31.04km
궤간1,435mm (표준궤)
최고 속도80km/h (최대 운행 속도)
빨간색으로 표시된 동서 노선이 1호선이다.
노선 정보 (일본어)
노선 이름베이징 지하철 1호선
노선 색'#89333B'
DKZ4형 전동차
현황 (일본어)영업 중
나라 (일본어)중국
소재지 (일본어)베이징
종류 (일본어)지하철
노선망 (일본어)베이징 지하철
기점 (일본어)핑궈위안 역
종점 (일본어)쓰후이 동역
역 수 (일본어)26 (관계자 전용 역 포함)
노선 번호 (일본어)1
노선 색 (일본어)빨강
개업 (일본어)1971년
운영자 (일본어)베이징 지하철 운영
사용 차량 (일본어)DKZ4형
SFM04/04A형
노선 구조 (일본어)지하, 지상
노선 거리 (일본어)31.04km
궤간 (일본어)1,435mm (표준궤)
선로 수 (일본어)복선
복선 구간 (일본어)전 구간
전철화 구간 (일본어)전 구간
전철화 방식 (일본어)직류 750V 제3궤조방식
최고 속도 (일본어)80km
노선 정보 (한국어)
노선 이름 (한국어)베이징 지하철 1호선
노선 이름 (한국어)北京地铁1号线
배경색 (한국어)'#89333B'
글자색 (한국어)white
그림 (한국어)
그림 크기 (한국어)150px
왕푸징 역에 정차한 1호선 DKZ4형 전동차
종류 (한국어)도시 철도
나라 (한국어)중국
체계 (한국어)베이징 지하철
상태 (한국어)영업 중
기점 (한국어)핑궈위안 역
종점 (한국어)쓰후이 동역
역 수 (한국어)26
개통일 (한국어)1969년 10월 1일
운영자 (한국어)베이징 지하철 운영 유한공사(北京市地铁运营有限公司)
영업 거리 (한국어)30.4km
궤간 (한국어)1,435 mm(표준궤)
선로 (한국어)2
전철화 (한국어)직류 750볼트 (가오징 - 스후이둥)

2. 역사

1965년부터 시작된 베이징 지하철 1호선 건설은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초기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점차 민간에 개방되고 노선이 확장되면서 베이징의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1호선은 베이징 시가지를 동서로 관통하며, 지상에는 장안제(창안제)라는 주요 도로가 나란히 뻗어 있다. 서쪽(구청~공주분 구간)에는 시내버스 337번 계열이, 동쪽(바바오산~스후 구간)에는 시내버스 1번 계열 등이 1호선과 거의 평행하게 운행되고 있다.

베이징 시가지를 동서로 관통하는 유일한 노선이었던 1호선은 오랫동안 극심한 혼잡을 겪었다. 특히 톈안먼시 역, 톈안먼둥 역, 왕푸징 역 등 시내 중심부의 환승이 어려운 역들은 종일 혼잡했다. 2012년 베이징 지하철 6호선 개통으로 혼잡이 다소 완화되었지만[39], 여전히 출퇴근 시간에는 혼잡한 편이다.

헤이스터우 역(54호역), 가오징 역(53호역)은 중국인민해방군 베이징 군구 소속으로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으며, 푸서우링 역(52호역)은 과거 관계자 전용이었으나 현재 일반 공개를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다.[41] 헤이스터우 역 이후로는 군 전용 선로가 이어져 싼자뎬 역에 이른다.

2. 1. 초기 건설 및 개통 (1965년 ~ 1987년)

1965년 7월 1일,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이 착공되었다.[47][48] 1969년 10월 1일에는 핑궈위안역에서 난리스루역, 창춘제역을 거쳐 베이징역까지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초기에는 공무원만 이용할 수 있었다.

1971년 1월 15일, 베이징역에서 궁주펀역 구간이 여객 영업을 시작했다.[14] 같은 해 8월 5일에는 궁주펀역에서 위취안루역(옥천로역)까지, 11월 7일에는 위취안루역에서 구청루역(고성역)까지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1973년 4월 23일에는 구청루역에서 핑궈위안역까지 구간이 개통되어 1단계 구간이 완성되었다.[14]

1977년에는 일반 민간인에게, 1980년에는 외국인에게도 이용이 허용되었다.

1987년 12월 28일, 난리스루역에서 푸싱먼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1호선은 2호선과 분리되었다. 이로써 창춘제역에서 베이징역 구간은 2호선으로 이관되었고, 1호선은 핑궈위안역에서 푸싱먼역 사이를 운행하게 되었다.

구간개통일역 수노선명
궁주펀(Gongzhufen) — 베이징 기차역(Beijing Railway Station)1969년 10월 1일101단계 (초기 구간)
옥천루(Yuquan Lu) — 궁주분(Gongzhufen)1971년 8월 5일3옥천루 연장
고성(Gucheng) — 옥천루(Yuquan Lu)1971년 11월 7일3고성 연장
평과원(Pingguoyuan) — 고성(Gucheng)1973년 4월 23일1평과원 연장
남리실루(Nanlishilu) — 복흥문(Fuxingmen)1987년 12월 28일11호선 & 2호선 재정비 사업
장춘제(Changchun Jie) — 베이징 기차역(Beijing Railway Station)-6



위취안루역(옥천로역), 1971년 8월 5일 개통.

2. 2. 푸바선 개통 및 통합 (1992년 ~ 2000년)

1992년 12월 12일, 1호선은 동쪽으로 시단까지 한 역이 연장 개통되었다.[16] 1999년 9월 28일에는 푸바선(复八线)의 첫 구간인 톈안먼시에서 스후이둥 구간이 개통되었다.[16] 2000년 6월 28일, 시단톈안먼시 사이 구간이 개통되면서, 1호선과 푸바선이 통합되어 31km 길이에 23개 역을 갖춘 노선이 되었다.[16]

구간개통길이역 수노선명
복흥문(Fuxingmen)시단(Xidan)1992년 12월 12일1.6km1시단 연장
천안문 서쪽(Tian'anmenxi) — 사휘 동쪽(Sihuidong)1999년 9월 28일10.1km10푸바 노선
시단(Xidan)천안문 서쪽(Tian'anmenxi)2000년 6월 28일1.3km21호선 & 푸바 노선 통합 사업



1992년, 1호선은 동쪽으로 한 역이 시단(Xidan)까지 연장되었다.
--

2. 3. 운행 개선 및 확장 (2007년 ~ 현재)

2000년대 이후,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지속적인 운행 개선과 확장을 통해 혼잡도를 완화하고 운행 효율성을 높이려는 노력을 계속해왔다.

날짜내용
2007년 12월 24일러시아워 운행 간격을 2분 30초로 단축
2009년 4월 21일러시아워 운행 간격을 2분 15초로 단축
2015년 12월 29일러시아워 운행 간격을 2분 5초에서 2분으로 단축
2019년 7월 19일금요일과 토요일 막차 시간 연장. 상행선(핑궈위안역 방면) 막차는 61분 연장되어 핑궈위안역에서 0시 31분에 출발, 하행선(스후이둥역 방면) 막차는 64분 연장되어 스후이둥역에서 0시 34분에 출발
2020년 4월 18일핑궈위안 종합교통터미널 공사로 인해 핑궈위안역이 임시 폐쇄, 운행 구간이 구청역~스후이둥역으로 변경
2020년 10월 7일베이징 지하철 바퉁선과의 직결 운행 공사로 인해 스후이둥역 임시 폐쇄
2021년 8월 29일베이징 지하철 바퉁선과의 상호 직통 운행 시작[42]
2023년 12월핑궈위안역핑궈위안 종합교통터미널 동시 개업 예정


3. 노선 정보

一线|yī xiàn|이셴/일선중국어이라고도 불리는 1호선은 베이징 시가지를 동서로 관통하는 노선이다. 지상에는 장안제(창안대로)라는 베이징 제일의 주요 도로가 나란히 뻗어 있다. 서쪽(구청~난리스루)에는 시내 버스 337번 계열이, 동쪽(궁주펀~스후이, 이중 푸싱먼~스후이둥 구간은 푸바선(复八线)으로 부르고 있다.)에는 시내 버스 1, 4번 등의 계통이 함께 운행되고 있다. 평일에도 혼잡하며, 톈안먼시 역, 톈안먼둥 역, 왕푸징 역 등 시 중심부의 다른 노선과 환승이 되지 않는 역에서는 교통 체증이 자주 발생한다.

1호선 동쪽으로는 베이징 지하철 바퉁 선과 연결된다. 노선색은 같지만 차량 신호 체계 등의 문제로 직결 운행은 하지 않고 별도의 노선으로 운행된다. 바퉁선은 베이징에서 출퇴근 시간대에 가장 혼잡한 노선으로, 특히 1호선과 환승되는 쓰후이 역, 쓰후이둥 역의 혼잡도가 심하다. 이 때문에 1호선과 바퉁선의 직결 운행이 논의되고 있지만, 실현되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헤이스터우 역(54호역), 가오징 역(53호역), 푸서우링 역(52호역)은 중국인민해방군 베이징 군구 소속이라 일반에 개방되지 않고, 지하철 관계자 전용 열차가 하루에 여러 번 왕복한다. 복선 전철화되어 있는 다른 1호선 노선과 달리 헤이스터우-가오징 구간은 비전철 단선이다. 헤이스터우 역에서 군 전용 선로를 계속 따라가면 중국철도총공사에서 운영하는 싼자뎬 역에 이른다.

1호선의 서쪽 종착역은 시징산구에 있는 핑궈위안 역이다. 노선은 남동쪽으로 향하여 두 번째 정차역인 구청역에 도착하며, 거기서부터 창안대로를 따라 동쪽으로 직진하여 차오양구의 스후이둥 역에 있는 동쪽 종착역에 도착한다. 이는 4환선 바로 너머에 있다. 이 노선은 시단역, 왕푸징 역, 둥단역을 포함한 시청구둥청구의 주요 상업 중심지와 중국세계무역센터 근처의 베이징 CBD를 통과한다. 이 노선의 길이는 31.04km[6]이며, 23개의 역이 운영 중이다. 쓰후이 역과 스후이둥 역을 제외한 모든 역은 지하에 있다.


  • 영업 거리: 30.4km
  • 궤간: 1435mm(표준궤)
  • 역수: 26개 역 (비공개역 제외 시 23개 역)
  • 복선 구간: 전 노선
  • 전기 구간: 가오징~스후이둥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 지상 구간: 스후이~스후이둥
  • 주행 방향: 우측 통행


1986년 8월 15일, 지하철 건설 2단계가 시작되었고, 푸싱먼역에서 바왕펀 역(오늘날 베이징 CBD)까지의 신규 노선 건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수행되었다. 1994년에는 1호선의 신호 시스템이 자동 열차 보호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16] 2014년부터 신호 및 전력 시스템이 점진적으로 업그레이드되어 열차 운행 빈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17] 현재 설치된 CBTC 이동 블록 신호 시스템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러시아워 열차 간격이 2분 5초에서 1분 45초로 단축되었다.[18]

2012년 12월 30일에 본 노선과 평행하게 6호선이 개통됨에 따라, 평일 하루 평균 수송량이 8.46% 감소했지만[39], 여전히 러시아워에는 혼잡하다.

53호역은 관계자 전용역으로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있으며, 관계자를 위한 통근 열차도 2007년 5월 28일자로 운행이 중단되었으므로, 사실상 폐역이 되었다[40]. 푸수링역(52호역)도 관계자 전용역이었지만, 일반 공개를 위해 공사 중이다[41].

4. 역 목록

거리영업
거리
소재지-헤이스터우 (54호)黑石头|헤이스터우중국어펑사 철로--베이징시스징산 구101가오징 (53호)高井|가오징중국어--102푸서우링 (52호)福寿岭|푸서우링중국어--103핑궈위안苹果园|핑궈위안중국어베이징 지하철 6호선 (공사중)
베이징 지하철 S1선 (공사중)0.00.0104구청루古城路|구청루중국어3.73.7105바자오 놀이공원八角游乐园|바자오유러위안중국어2.05.7106바바오산八宝山|바바오산중국어1.97.6107위취안루玉泉路|위취안루중국어1.59.1하이뎬 구108우커숭五棵松|우커쑹중국어1.810.9109완서우루万寿路|완서우루중국어1.812.7110궁주펀公主坟|궁주펀중국어베이징 지하철 10호선1.314.0111군사박물관军事博物馆|군사박물관중국어베이징 지하철 9호선1.215.2112무시디木樨地|무시디중국어1.116.3113난리스루南礼士路|난리스루중국어1.417.6시청 구114푸싱먼复兴门|푸싱먼중국어베이징 지하철 2호선0.418.0115시단西单|시단중국어베이징 지하철 4호선1.619.6116톈안먼 서天安门西|톈안먼시중국어1.320.9117톈안먼 동天安门东|톈안먼둥중국어0.921.8둥청 구118왕푸징王府井|왕푸징중국어베이징 지하철 8호선 (공사중)0.822.6119둥단东单|둥단중국어베이징 지하철 5호선0.823.4120젠궈먼建国门|젠궈먼중국어베이징 지하철 2호선0.824.6121융안리永安里|융안리중국어1.426.0차오양 구122궈마오国贸|궈마오중국어베이징 지하철 10호선0.826.8123다왕루大望路|다왕루중국어베이징 지하철 14호선 (공사중)1.428.2124쓰후이四惠|쓰후이중국어베이징 지하철 바퉁 선1.529.9125쓰후이 동四惠东|쓰후이둥중국어베이징 지하철 바퉁 선1.731.6



2021년 8월 29일 직결 운행 개시 이후 베이징 지하철 1호선과 바퉁선의 역 목록.[27]

노선명운행
노선
역 이름환승인근 버스 정류장거리
[12]
위치
1호선align="center"|align="center"|
(개통 예정일 미정)
align="left"|시징산구
align="center"|align="center"|
(공사 중, 재개통 예정일 미정)
align="left"|0.0000.000
align="center"|align="left"|2.6062.606
align="center"|align="left"|1.9214.527
align="center"|align="left"|1.9536.480
align="center"|align="left"|1.4797.959
align="center"|align="left"|1.8109.769하이뎬구
align="center"|align="left"|1.77811.547
align="left"|1.31312.860
align="left"|1.17214.032
(시스템 외 환승)align="left"|1.16615.198시청구
align="left"|1.29116.489

(역을 통한 시스템 외 환승)[13]
align="left"|0.42416.913
align="left"|1.59018.503
align="left"|1.21719.720
align="left"|0.92520.645동청구
align="left"|0.85221.497
align="left"|0.77422.271
align="left"|1.23023.501
align="left"|1.37724.878차오양구
align="left"|0.79025.668
align="left"|1.38527.053
align="left"|1.67328.726
align="left"|1.71430.440
바통선(八通线)1.37531.815
2.00233.817
1.89435.711
1.91237.623
1.76339.386
1.70041.086퉁저우구
1.46542.551
align="center"|0.99043.541
align="center"|1.22544.766
align="center"|1.25746.023
align="center"|0.77646.799
align="center"|2.23849.037
align="center"|1.86350.900


5. 이용객 현황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2013년 1월까지 베이징 지하철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노선이었다.[7] 2014년 일일 평균 이용객 수는 1,234,900명,[7] 최고 이용객 수는 1,536,900명이었다.[8][9]

최근 몇 년 동안 혼잡 완화 노력이 이루어졌다. 6호선 1단계 개통으로 일일 수요가 8.46% 감소하고, 러시아워 최대 교통량이 10~20% 감소했다.[10] 베이징 BRT 2호선이 1호선 동쪽 구간과 평행하게 운행되는 것도 혼잡 완화에 기여했다. 2014년에서 2015년 사이에는 신호 시스템을 통신 기반 열차 제어(CBTC)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열차 간격을 최소 1분 45초까지 단축했다. 그러나 2013년에는 러시아워 시간대 일부 구간에서 여전히 수용력을 초과하는 운행이 보고되었다.[10]

1호선은 베이징 시가지를 동서로 관통하여 톈안먼시 역, 톈안먼둥 역, 왕푸징 역 등 시 중심부의 다른 노선과 환승이 되지 않는 역에서는 교통 체증이 빈번히 발생한다. 2012년 12월 30일 6호선 개통으로 평일 하루 평균 수송량이 감소했지만,[39] 러시아워에는 여전히 혼잡하다.

6. 차량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현재 운행 중인 차량과 과거에 운행했던 차량으로 나뉜다.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北京地铁DKZ4型电动车组|DKZ4형중국어, 北京地铁SFM04型电动车组|SFM04형중국어, 北京地铁SFM01/02/07型电动车组|SFM01/02/07형중국어, 北京地铁BDK06型电动车组|BDK06형중국어이다.

과거 운행 차량은 다음과 같다.

모델운행 기간비고
北京地铁DK1型电动车组|DK1형중국어궤간 초과로 미운행
北京地铁DK2型电动车组|DK2형중국어1969년–1985년76량 DK11형으로 개조
北京地铁DK3型电动车组|DK3형중국어1971년-2002년13호선, 바퉁선 이관
北京地铁DK8型电动车组|DK8형중국어2호선 이관
北京地铁DK11型电动车组|DK11형중국어1984년–2008년
北京地铁DK20型电动车组|DK20형중국어1994년–2012년DKZ4형 정비로 2008년 퇴역 후 재운행
北京地铁BD1型电动车组|BD1형중국어1990년–1994년2호선 이관
北京地铁BD2型电动车组|BD2형중국어1995년–2012년DKZ4형 정비로 2008년 퇴역 후 재운행
北京地铁BD3型电动车组|BD3형중국어1996년–2001년DK3형 차량과 연결


6. 1. 현재 차량

베이징 지하철 차량 장비(Beijing Subway Rolling Stock Equipment)1998–20012007
2010-2012
2015-2016
2020-202131S401–S431
(01 001–01 031)四惠车辆段|lt=쓰후이중국어 (2량 제외 古城车辆段|lt=구청중국어)北京地铁SFM04型电动车组|lt=SFM04/04A중국어
중국중철(CRRC) 칭다오 시팡(CRRC Qingdao Sifang)
베이징 지하철 차량 장비(Beijing Subway Rolling Stock Equipment)2006–2011202139G432–G470
(01 032–01 070)구청北京地铁SFM01/02/07型电动车组|lt=SFM01/02/07중국어
중국중철(CRRC) 칭다오 시팡(CRRC Qingdao Sifang)
베이징 지하철 차량 장비(Beijing Subway Rolling Stock Equipment)2003–20052008
2015-2020
2021108TQ401–TQ408, TQ415–TQ424
(01 071–01 078, 01 085–01 094)土桥车辆段|lt=투차오중국어北京地铁BDK06型电动车组|lt=BDK06중국어
베이징 지하철 차량 장비(Beijing Subway Rolling Stock Equipment)2018–202172TQ431–TQ437 (01 101–01 107), 01 108–01 112투차오, 쓰후이



모두 6량 편성이다. 1999년에 도입된 DKZ4형 31편성 186량은 비냉방차였다(단, 승무원실만 냉방 설비 있음). 승객들의 불만이 많아, 차량의 내구연한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냉방 설비 설치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2012년에 완료했다.[43][44](당초 계획은 2010년 중에 완료될 예정이었다.[45][46]).

6. 2. 과거 차량

베이징 지하철 1호선에서 과거에 운행했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모델이미지제조사제작 연도운행 기간제작량차량 번호 (1996년 이전)차량 번호 (1996년 이후)비고
北京地铁DK1型电动车组|DK1중국어
CRRC 창춘 철도 차량1967년2대001–002지하철의 궤간을 초과하여 운행되지 않음.
北京地铁DK2型电动车组|DK2중국어
1969년–1970년1969년–1985년80대201–21976량이 DK11형으로 개조됨.
北京地铁DK3型电动车组|DK3/3G중국어
1971년–1973년1971년-2002년50대G101–G10713호선바퉁선으로 이관됨.
北京地铁DK8型电动车组|DK8중국어1982년52대401–4132호선으로 이관됨.
北京地铁DK11型电动车组|DK11중국어
1984년–1985년1984년–2008년76대601–619G201–G207, G2082–G2085, G209–G213
北京地铁DK20型电动车组|DK20/20G중국어
1994년–1995년1994년–2012년42대443–449G108–G114DKZ4형 열차 정비로 인해 2008년에 퇴역했다가 재운행됨.
北京地铁BD1型电动车组|BD1중국어베이징 지하철 차량 장비(Beijing Subway Rolling Stock Equipment)1990년–1992년1990년–1994년18대3083–3084, 309–3112호선으로 이관됨.
北京地铁BD2型电动车组|BD2/2G중국어
1994년–1998년1995년–2012년72대450–454 (첫 번째 배치만)G115–G126DKZ4형 열차 정비로 인해 2008년에 퇴역했다가 재운행됨.
北京地铁BD3型电动车组|BD3중국어1995년1996년–2001년2대G2081, G2086DK3형 차량 G2082–G2085와 연결됨.



모두 구청 차량기지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6량 편성이었다.

7. 운행 시간

첫 동쪽행 열차는 구청역(Gucheng Station)에서 오전 4시 58분, 핑궈위안역(Pingguoyuan Station)에서 오전 5시 10분에 출발한다. 첫 서쪽행 열차는 쓰후이역(Sihui Station)에서 오전 4시 56분, 쓰후이둥역(Sihui East Station)에서 오전 5시 5분에 출발한다. 마지막 동쪽행 열차는 핑궈위안역에서 밤 10시 55분에 출발한다. 마지막 서쪽행 열차는 쓰후이둥역에서 밤 11시 15분에 출발한다.[11]

8. 기타 시설

1호선에는 구청 차량기지(Gucheng Depot)와 스후이 차량사업소(Sihui Carpark)가 있어서 열차를 정차하고 정비한다.[29]

가오징 역(高井)과 푸서우링 역(福寿岭)은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는 제한역이다.[29] 가오징 역은 군사 지역 내에 있으며,[29] 푸서우링 역은 사실상 군사 지역 밖에 있지만,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는다.[29] 푸서우링 역의 개장일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29][28] 가오징 역을 일반인에게 개방하는 제안은 시징산 구의 2022년과 2023년 사업 계획에 언급되어 있다.[29][30]

9. 향후 개발 계획

1호선은 과밀 해소를 위해 7량 이상의 열차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핑궈위안역(Pingguoyuan)과 난리쓰루역(Nanlishilu) 사이 구간은 6량 열차만 수용 가능하므로 승강장 연장이 필요하다. 푸싱먼역(Fuxingmen)과 쓰후이둥역(Sihui East) 사이 구간은 8량 열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건설되었다.[31][32] 2022년 12월 베이징시 교통위원회 국장은 1호선 동부 구간과 바퉁선에 7량 열차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33]

9. 1. 칭룽후둥 지선

(청룡호 동쪽, 풍대구 소재)에서 바자오 유원지역(석경산구)까지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이어지는 노선으로, 길이가 약 19.9km이며 신설 역은 9개이다.[34] 1호선 지선 건설은 2024년 1월 19일에 시작되었다.[35]

지선 연장 공사를 위해서는 바자오 유원지역을 개조 및 확장해야 한다.[36] 바자오 유원지역에는 1호선 지선의 새로운 승강장이 설치되며, 기존 1호선 승강장과 결합하여 독립된 섬식 승강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해당 역은 2개의 섬식 승강장을 가진 4개 노선 환승역이 된다.[37]

역 이름[38]환승위치
바자오 유원지1호선 (본선)석경산구
체육장 남가
원보원 서문풍대구
장과장14호선
서이구
후려촌역
운강
왕조
민족대학
청룡호동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bjsubway.[...] Beijing Subway 2015-03-20
[2] 웹사이트 Ridership http://news.sina.com[...] Sina 2012-05-03
[3] 웹사이트 Official Ridership http://www.bjsubway.[...] Beijing Subway 2012-05-04
[4] 서적 China Railways Press (中国铁道出版社)
[5] 학술지
[6] 웹사이트 八通线与1号线贯通?年底见分晓 http://www.bjnews.co[...] 2016-11-16
[7] 웹사이트 http://www.bjsubway.[...] Beijing Subway 2015-03-20
[8] 웹사이트 Ridership http://news.sina.com[...] Sina 2012-05-03
[9] 웹사이트 Official Ridership http://www.bjsubway.[...] Beijing Subway 2012-05-04
[10] 뉴스 http://www.bjjtw.gov[...] Beijing Municipal Transportation Committee (北京市交通委员会) 2013-02-07
[11] 웹사이트 http://www.bjsubway.[...] 2008-10-24
[12] 웹사이트 站间公里数 北京地铁官方网站 https://www.bjsubway[...]
[13] 웹사이트 地铁开通“虚拟换乘”之后,乘客的地面换乘体验如何?记者进行实地探访 https://news.bjd.com[...] 2022-08-01
[14] 웹사이트 http://www.bjsubway.[...] Beijing Subway
[15] 웹사이트 http://www.bjsubway.[...] 2011-02-03
[16] 웹사이트 http://www.bjsubway.[...] Beijing Subway 2011-02-03
[17] 웹사이트 北京地铁1号线发车间隔有望再快5秒 为世界最快 http://news.sina.com[...] 2022-06-15
[18] 웹사이트 http://news.xinhuane[...] 2017-12-31
[19] 웹사이트 http://news.sohu.com[...] Sohu 2010-04-06
[20] 웹사이트 http://www.dzwww.com[...] 大众网 2010-07-04
[21] 뉴스 Beijing begins installing platform barriers on subway Line 1 http://www.chinadail[...] 2016-07-19
[22] 웹사이트 http://jiangsu.china[...] 2016-08-18
[23] 웹사이트 http://news.sina.com[...] 2017-09-10
[24] 웹사이트 http://www.china.com[...] 中国网 2011-09-16
[25] 웹사이트 http://finance.qianl[...] 2016-11-17
[26] 웹사이트 关于轨道交通1号线与八通线贯通运营工程项目建议书(代可行性研究报告)的批复 http://fgw.beijing.g[...] 2020-06-12
[27] 뉴스 四惠四惠东站无须换乘了!北京地铁1号线、八通线本周日跨线运营 https://news.bjd.com[...] 2021-08-25
[28] 웹사이트 1号线福寿岭站进度到底如何,今明两年能否启用 http://liuyan.people[...] 2021-03-24
[29] 웹사이트 北京地铁1号线福寿岭站年内竣工!高井站开启改造研究 https://bj.bjd.com.c[...] 2023-01-05
[30] 웹사이트 石政发〔2022〕1号 北京市石景山区人民政府关于印发2022年折子工程的通知 http://www.bjsjs.gov[...]
[31] 웹사이트 北京地铁1号线6节车厢将扩至7节 http://news.ifeng.co[...] 2013-12-30
[32] 학술지 北京地铁1号线运输能力挖掘研究
[33] 웹사이트 北京城市副中心:如何实现不依赖小汽车也能便利出行?——访北京市交通委员会主任 谢正光 https://www.mot.gov.[...] 2022-12-26
[34] 웹사이트 北京市轨道交通第三期建设规划(2022-2027年)环境影响报告书(征求意见稿).pdf https://www.rails.cn[...] 2022-07-08
[35] 웹사이트 China's oldest subway line to expand into Beijing suburbs https://www.chinadai[...] 2024-01-19
[36] 웹사이트 北京轨道交通1号线支线工程勘察02合同段(勘察)招标公告 https://ggzyfw.beiji[...] 北京市公共资源交易服务平台 2023-05-26
[37] 웹사이트 北京轨道交通1号线支线工程环境影响评价报告书(征求意见稿) https://www.bii.com.[...] 北京市基础设施投资有限公司 2023-10-08
[38] 웹사이트 北京地铁1号线今年将建支线 http://epaper.bjnews[...] 2023-03-03
[39] 웹사이트 我市轨道交通网络化运营效果凸显 https://web.archive.[...] 北京市交通委員会 2014-01-09
[40] 웹사이트 北京地铁1号线福寿岭站将开放使用 http://beijing.qianl[...] 千龙网 2018-09-28
[41] 웹사이트 机电公司北京分公司承建的福寿岭启用改造项目正式动工 http://jd.crec4.com/[...] 2021-12-01
[42] 웹사이트 好消息!北京地铁1号线、八通线本周日实现跨线运营 https://news.sina.co[...] 2021-08-25
[43] 웹사이트 1号线非空调车改造正在加紧进行 https://web.archive.[...] 2011-11-03
[44] 웹사이트 京地鐵一號線暑期前全變空調車 600工人加班1天改1輛 http://big5.gmw.cn/g[...]
[45] 웹사이트 エキスプロア北京 2009年6月1日掲載 http://www2.explore.[...] 2009-06-01
[46] 웹사이트 中国青年報 2009年5月29日掲載(中国語) http://bjyouth.ynet.[...] 2009-05-29
[47] 일반
[48]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